subvisual
전공 분야 소개

디지털미디어·콘텐츠 전공은 디지털 기술 기반의 미디어 생태계를 구성하는 물질적·비물질적 ‘구조’와 더불어 생태계 속에 존재하는 ‘인간’의 인지, 행위, 그리고 감정 간의 관계에 대해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분석하는 데 초점을 둔다. 구조적인 측면에서는 미디어 산업구조와 정책, 그리고 디지털 미디어 기술 자체에 대해 학습하고, 행위자의 측면에서는 미디어 이용이 인간의 지각과 행동 그리고 감정에 미치는 효과를 연구한다. 전공생들은 미디어 경영·경제학, 미디어 심리학, HCI(human-computer interaction), 디지털 미디어 수용자론, 미디어 조직학을 포함하는 여러 학문 분야의 이론과 분석법을 학습하고, 이론 및 실증연구를 수행함으로써 디지털 미디어·콘텐츠 분야의 전문 연구 인력 양성을 목표로 한다.

전공 과목

<공통 선택 : 세부 트랙 공통적인 주제의 과목>

COM6001
커뮤니케이션이론(Communication Theory)
인간의 내적 커뮤니케이션과 대인 커뮤니케이션 과정을 통해 자아를 발견하고 자기 성장을 도모하는 인간 커뮤니케이션에 초점을 맞춘다. 이에 관련된 이론의 틀과 원리를 중심으로 다각적으로 체계적인 제반 연구의 전망과 과제가 함께 검토된다.
COM6002

매스커뮤니케이션이론(Mass Communication Theory)

매스컴에 관한 사회학적, 심리학적, 정치학적 입장에서의 연구성과들을 관심의 대상분야에 따라 매스컴학사의 입장에서 정리하고, 이들 연구업적과 개념들을 매스컴의 일반 이론으로 발전시켜 체계화하기 위해 깊이 있게 연구한다.
COM6003

커뮤니케이션연구방법(Communication Research Methodology)

매스컴에 대한 과학적 연구방법론의 이론적, 논리적 기초를 확립하고 학생들이 독자적으로 연구과제에 대한 조사설계, 자료수집, 분석의 전과정을 수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도록 한다.
COM6511
미디어교육(Media Education)
현대 사회에서 각종 매스미디어가 일반 대중 수용자의 일상생활의 중요한 일부가 되면서 수용자에게 미치는 미디어 영향의 심도 또한 깊어지고 있다. 따라서 수용자가 이들 미디어를 선별적이고 의식적으로 수용하는 자세를 확립하도록 수용의식 개발을 하여 순기능적인 측면에서 미디어 수용 태도를 키워주는 방법론과 이에 관련된 상황을 고찰한다.
COM6512

헬스커뮤니케이션(캡스톤디자인) (Health Communication Capstone Design)

사람들이 건강에 대한 신념과 행동을 어떻게 유지, 변화시키는지를 탐구한다. 건강 관련 정보가 전달, 활용되는 과정에 미디어가 어떻게 이용되며 그 효과는 어떠한지에 대한 분석도 이루어진다. 의사, 환자, 보호자, 및 의료기관 간의 커뮤니케이션 현상을 분석하고, 신체적․정신적 건강 증진과 질병 치료 및 예방에 도움이 되는 효율적 소통방법을 연구한다.
COM6513
헬스커뮤니케이션캠페인(Health Communication Campaign)
정부, 의료기관, 제약회사 등이 각종 질환 예방 및 효과적인 의료정책 추진을 위해 수행하는 제반 커뮤니케이션 캠페인과 관련된 이론, 사례, 전략 등을 고찰한다. 수업에서 연구할 캠페인 주제는 금연, 암예방, 에이즈예방, 건강보험 정책, 건강증진, 고령화 및 출산 정책 등이 되겠다.
COM6514
개별연구(Independent Research)
전공영역에 관한 주제를 중심으로 개별 지도한다.
COM6515
개별연구Ⅱ(Independent ResearchⅡ)
전공영역에 관한 주제를 중심으로 개별 지도한다.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전공>

COM5401

디지털콘텐츠 캡스톤디자인 프로젝트(Digital Contents Capstone Design Project)

뉴미디어를 이용하는 사람들의 심리적 과정을 인지, 정서, 행동 측면에서 탐구한다. 특히 미디어의 종류와 장르에 따라 사람들이 심리적․사회적으로 어떤 즐거움과 효과들을 얻게 되는지도 다각적으로 분석한다.

COM5402
TV제작 캡스톤 디자인 (TV Production Capstone Design)
디지털 환경에서 변화되고 있는 TV 제작 전반에 대해서 다룰 것이다. 과거의 아날로그 패러다임과 오늘날의 디지털 패러다임 속에서 TV의 제작 및 유통 전반의 관련 사안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COM6401
뉴미디어심리학(New Media Psychology)
뉴미디어를 이용하는 사람들의 심리적 과정을 인지, 정서, 행동 측면에서 탐구한다. 특히 미디어의 종류와 장르에 따라 사람들이 심리적․사회적으로 어떤 즐거움과 효과들을 얻게 되는지도 다각적으로 분석한다.
COM6402
설득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 and Persuasion)
사회심리학 연구에 바탕을 둔 설득커뮤니케이션의 원리와 태도변화 과정, 미디어를 활용한 설득과정과 그 효과 등을 공부하며, 소비행동과 정치행동의 분석 등에 응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COM6403
인터렉티브미디어(Interactive Media)
디지털화로 구현되는 인터렉티브미디어는 기존의 미디어와 차별화되는 미디어 서비스를 가능케하고 있다. 본 과목은 인터렉티브미디어가 기존의 커뮤니케이션 양식을 어떻게 변화시키고 있는지를 논의한다. 이를 위해서 다양한 형태의 인터렉티브미디어가 분석될 것이다.
COM6404
디지털미디어경영기획론(Digital Media Management)
급변하는 융합미디어 환경에 따라 미디어기업이 당면하게 되는 새로운 과제들과 현상에 대해 다양한 미디어 경영학적 이론을 접목시켜 심도있는 분석과 논의, 그리고 이를 통한 산업에 대한 이해력과 예측력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COM6405
디지털콘텐츠(Digital Contents)
디지털미디어 콘텐츠 체계가 역동적으로 바뀌면서 이에 대한 관심과 분석의 필요성이 대두되는 시점에서 디지털 콘텐츠를 산업차원에서 체계적으로 접근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COM6407
디지털수용자론(Digital Media Audience)
디지털미디어 수용자들의 사고와 행동을 분석하며 수용자의 행동결정과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COM6409
디지털미디어정책론(Digital Media Policy)
디지털미디어의 산업구저와 정책의 동향을 다루고, 주요국의 현황을 고찰한 후 한국사회에 있어서 각 매체별 산업을 제도적으로 규정짓는 정책에 대한 문제점과 그 대응방안을 모색한다.
COM6411
창조산업론(Creative Industry)
창조산업의 지식경제, 창조적 파괴의 역동성에 관한 다양한 주제를 종합적 차원에서 체계적으로 분석한다.
COM6413
사이버커뮤니케이션(Cyber Communication)
사이버상의 커뮤니케이션의 기능과 특성을 체계적으로 분석한다. 또 다른 대안적 현실로써 등장한 사이버상의 다양한 현상들을 체계적으로 분석한다.
COM6414
모바일커뮤니케이션(Mobile Communication)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의 기능과 특성을 체계적으로 분석하며,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으로 인한 개인과 사회의 변화 과정을 탐구한다. 모바일 미디어와 소셜미디어, 유비쿼터스 사회와의 관계 등에도 관심을 둔다.
COM6415
뉴미디어와청소년(New Media and Adolescents)
뉴미디어를 이용하는 청소년의 문화와 생활양식을 탐구하며, 뉴미디어를 활용한 엔터테인먼트와 몰입 및 중독 과정 등에 대한 분석도 병행한다. 가족 및 또래 커뮤니케이션과 미디어 통제력 문제도 다룬다.
COM6416
게임커뮤니케이션(Game Communication)
기존의 커뮤니케이션 이론들이 게임내의 상황이나 케이버들의 상호작용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 가상현실과 현실세계와의 관계에 대한 다양한 함의들을 분석한다.
COM6417
디지털미디어특별주제연구(Special Topics in Digital Media)
디지털미디어와 관련되는 제반 문제를 구체적인 사례를 중심으로 분석, 토론한다.
COM6418
디지털미디어특별주제연구 II(Special Topics in Digital Media II)
디지털미디어와 관련되는 제반 문제를 구체적인 사례를 중심으로 분석, 토론한다.
COM6419
소셜미디어와 사회심리(Social Media and Social Psychology)
최근 급부상하고 있는 소셜미디어의 이용 및 그로 인한 사회변화의 기저에 사회심리학적 원리들이 강력하게 작용하고 있다. 본 과목에서는 트위터와 페이스북을 포함한 다양한 SNS의 이용 패턴과 그 영향력을 개인, 집단, 사회 및 문화 관련 심리학적 관점에서 심도잇게 살펴봄으로써, 대학원생들이 다양한 주제에서 학제 간 연구의 토대를 다져 나가도록 한다.
COM6420
뉴미디어와 인간사회(New Media and Human Society)
이 과목은 뉴미디어로 분류되는 각종 디지털 미디어가 어떻게 사람들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스, 대인관계, 조직, 그리고 사회전반에 영향을 미치며 동시에 영향을 받는지를 알아보는 과목이다. 특별히, 사람들의 커뮤니케이션 과정과 형식이 뉴미디어의 영향으로 어떻게 변해왔는는지, 뉴미디어의 사회 심리학적 효과는 무엇인지, 새롭게 탄생하는 뉴미디어 문화는 무엇인지, 이들을 설명하는 이론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등을 알아본다.
COM6421
초연결사회와 네트워크 경제(Hyper Connected Society of Economy)
인터넷 혁명으로 촉발된 네트워크 연결이 확산되면서 사회, 경제, 정치, 문화 전반에 변화와 혁신이 가속화되고 있다. 모든 사물들이 네트워크 연결되는 IoT와 그 기반이 되는 Cloud와 Big Data 기술들이 새로운 산업과 현상들을 창발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에 대한 사회 경제적 고찰과 진화 방향들에 대한 탐구가 주로 다루어진다.
COM6422
디지털미디어와 현대조직(Digital Media & Contemporary organizations)
정보통신 기능의 발달에 힘입어, 현대 조직은 임무 수행과 조직 운영을 위해 다양한 디지털 미디어에 의존하고 있다. 따라서 본 과목에서는 현대 사회에서 지배적인 디지털 미디어의 조직적 활용에 대해서 다루고자 한다.
COM6423
미디어와 환경커뮤니케이션(Media & Environmental Communication)
환경 문제는 현재 범국가적 관심을 받고 있으며, 문제 해결을 위해 범정부적인 협력이 요구되고 있다. 본 수업은 환경 문제에 있어서 다양한 미디어의 역할에 대해 살펴보고 문제 해결을 위한 전략을 구성해 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