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bvisual
전공 분야 소개
연극·영화 전공은 극예술의 본질을 학문적이고 실천적인 방식으로 이해하고자 한다. 그 중심에는 인간 본래의 욕구인 ‘이야기하기’가 자리하고 있다. 무대와 영상 매체가 갖는 고유하고도 다양한 형식적 특질 및 서사 형태를 연구함으로써 인간이 이 세계를 바라보는 방식, 이 세계와 대화하는 방식에 대한 이해의 지평을 넓힌다. 전공생들은 영화연구, 드라마분석방법론, 퍼포먼스연구 등의 과정을 통해 연극·영화 분야에 관한 이론적 깊이를 추구하는 한편 극작연구, 연출세미나 등의 과정에서 창작 방법을 실질적으로 모색함으로써 이론과 실천 사이의 균형을 갖춘 창조적 연구를 진행하게 될 것이다.
전공 과목
<공통 선택 : 세부 트랙 공통적인 주제의 과목>
COM6001
커뮤니케이션이론(Communication Theory)
인간의 내적 커뮤니케이션과 대인 커뮤니케이션 과정을 통해 자아를 발견하고 자기 성장을 도모하는 인간 커뮤니케이션에 초점을 맞춘다. 이에 관련된 이론의 틀과 원리를 중심으로 다각적으로 체계적인 제반 연구의 전망과 과제가 함께 검토된다.
COM6002

매스커뮤니케이션이론(Mass Communication Theory)

매스컴에 관한 사회학적, 심리학적, 정치학적 입장에서의 연구성과들을 관심의 대상분야에 따라 매스컴학사의 입장에서 정리하고, 이들 연구업적과 개념들을 매스컴의 일반 이론으로 발전시켜 체계화하기 위해 깊이 있게 연구한다.
COM6003

커뮤니케이션연구방법(Communication Research Methodology)

매스컴에 대한 과학적 연구방법론의 이론적, 논리적 기초를 확립하고 학생들이 독자적으로 연구과제에 대한 조사설계, 자료수집, 분석의 전과정을 수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도록 한다.
COM6511
미디어교육(Media Education)
현대 사회에서 각종 매스미디어가 일반 대중 수용자의 일상생활의 중요한 일부가 되면서 수용자에게 미치는 미디어 영향의 심도 또한 깊어지고 있다. 따라서 수용자가 이들 미디어를 선별적이고 의식적으로 수용하는 자세를 확립하도록 수용의식 개발을 하여 순기능적인 측면에서 미디어 수용 태도를 키워주는 방법론과 이에 관련된 상황을 고찰한다.
COM6512

헬스커뮤니케이션(캡스톤디자인) (Health Communication Capstone Design)

사람들이 건강에 대한 신념과 행동을 어떻게 유지, 변화시키는지를 탐구한다. 건강 관련 정보가 전달, 활용되는 과정에 미디어가 어떻게 이용되며 그 효과는 어떠한지에 대한 분석도 이루어진다. 의사, 환자, 보호자, 및 의료기관 간의 커뮤니케이션 현상을 분석하고, 신체적․정신적 건강 증진과 질병 치료 및 예방에 도움이 되는 효율적 소통방법을 연구한다.
COM6513
헬스커뮤니케이션캠페인(Health Communication Campaign)
정부, 의료기관, 제약회사 등이 각종 질환 예방 및 효과적인 의료정책 추진을 위해 수행하는 제반 커뮤니케이션 캠페인과 관련된 이론, 사례, 전략 등을 고찰한다. 수업에서 연구할 캠페인 주제는 금연, 암예방, 에이즈예방, 건강보험 정책, 건강증진, 고령화 및 출산 정책 등이 되겠다.
COM6514
개별연구(Independent Research)
전공영역에 관한 주제를 중심으로 개별 지도한다.
COM6515
개별연구Ⅱ(Independent ResearchⅡ)
전공영역에 관한 주제를 중심으로 개별 지도한다.

<연극영화 전공>

COM5301

신화연구(Mythology Studies)

신화의 플롯 및 캐릭터 원형성을 연구하고, 드라마 창작 및 해석에 있어서 그 활용성을 고찰한다.

COM5302

캐릭터연구(Character Studies)

융의 분석심리학을 기본으로 캐릭터의 유형을 학습하고, 고전 및 현대 작품, 신화 및 역사 속 캐릭터들을 분석하며, 작품 창작을 위한 캐릭터 구축 방법론을 탐구한다.

COM6301

영화연구(Cinema Studies)

본 과목은 영화이론에 대한 고등 학술연구를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본 과목은 영화이론의 특정한 측면들을 선정하여 집중적으로 고찰한다.

COM6303

드라마분석방법론(Drama Analysis and Criticism)

본 과목은 연극, 영화, 텔레비전 드라마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 및 해석의 방법론을 연구하고 그와 같은 방법론적 토대위에서 실제로 작품을 분석하고 해석할 수 있도록 한다. 본 과목이 목표로 하는 드라마의 분석과 해석은 궁극적으로 학술논문의 성격을 갖도록 한다.

COM6305

영상연구방법론(Methodological Study for Visual Culture)

영상문화연구에 활용될 수 있는 다양한 방법론적인 전통들의 특징과 속성, 그리고 한계점은 무엇인지, 어떻게 실제 연구에 응용될 수 있는지 공부한다. 수강생들은 특히 해석학, 정신분석학, 기호학, 담론분석, 페미니즘, 맑시즘, 문화연구 전통 등에 대하여 살펴보고 각자 자신의 관심 분야에 따라 적합한 구체적인 연구방법론을 개발한다.

COM6306

영상기호론(Visual Semiotics)

본 과목은 영화, 사진, 광고, 텔레비전 등 주로 영상 미디어 텍스트들의 의미 구성 메커니즘에 대하여 연구한다. 이를 위해 미디어 텍스트(text) 분석 작업에 요구되는 기본적인 기호학적 개념들뿐만 아니라, 미디어 수용자들의 텍스트 해석에 영향을 주는 텍스트 외적인 요인들, 즉, 장르, 이데올로기, 담론 등 개념들과 관련하여 공부한다. 본 과목의 주요 연구 대상은 물론 ‘영상’ 텍스트이지만 본 과목에서 다루는 내용은 좀 더 포괄적인 개념인 미디어학(media studies) 이론과 관련하여 논의된다.

COM6308

한국영화연구(Studies in Korean Cinema)

본 과목은 한국영화의 특정한 측면을 역사적/이론적 관점에서 고찰한다.

COM6309

코미디와 멜로드라마 연구 (Studies on Comedy and Melodrama)

이 과목은 대중미학의 핵심인 코미디와 멜로드라마를 연구한다. 이를 위해 본 과목은 웃음과 유머와 카니발 등에 관힌 이론들 그리고 멜로드라마의 신파극에 관한 이론들에 기초하여 연극, 영화, TV드라마, 광고 등의 미디어에서 펼쳐지는 코미디/멜로드라마 적인 커뮤니케이션 현상을 공부한다. 강의의 목표는 1) 코미디와 멜로드라마의 사회문화적 기능 및 효과, 2) 코미디와 멜로드라마의 심리적 효과, 3) 코미디와 멜로드라마의 한국적 융합문화, 4)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서의 코미디와 멜로드라마의 효과 등을 이해하는 것이다.

COM6310

퍼포먼스연구(Performance Studies)

퍼포먼스 이론을 통하여 문화와 사회를 이해하는 방법을 연구한다. 즉 본 강의는 연극, 영화, 콘서트, 이벤트, 정치집회, 놀이, 제의, 스포츠 경기 등을 퍼포먼스의 관점에서 이해하고 분석하여 그에 관한 새로운 이해와 통찰을 도모하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본 강의는 위와 같은 퍼포먼스를 통해 개인적 문화적 사회적 정체성이 사회 속에서 어떻게 반영, 형성, 구축되고 있는지를 연구하고자 한다.

COM6311

영화연구세미나(Seminar on Film)

본 과목은 영화연구의 후속과목으로서 영화의 특정측면을 보다 심도 있게 연구 고찰한다. 연구주제는 학기에 따라 선택된다.

COM6312

공연연구세미나(Seminar on Performing Arts)

본 과목은 극예술연구의 후속과목으로서 공연의 특정측면을 보다 심도 있게 연구 고찰한다. 연구주제는 학기에 따라 선택된다.

COM6316

공연영상특별주제연구(Special Topics in Performing Arts and Visual Culture)

공연, 영상과 관련되는 제반 문제를 구체적인 사례를 중심으로 분석, 토론한다.

COM6318

극작연구(Playwriting Studies)

내러티브 극예술 분야의 소재 개발부터 트리트먼트 작성까지의 과정을 익힌다.

COM6319

뮤지컬연구(Musical Studies)

브로드웨이 뮤지컬을 중심으로 뮤지컬의 발달과정을 살펴보고, 주요작가들의 작품세계를 분석, 비평한다.

COM6321

내러티브 연구 (Narrative Studies)

연극/영화/게임 등의 이야기 매체에서 구축되는 내러티브를 다음 세가지 관점에서 고찰한다. (1)이야기의 구성혁식, (2)도식적인 이야기의 연구, (3) 인지된 이야기 도식이 세상사를 특정한 방식으로 이해하게 하는 사전매개의 기능.